팀 버너스리
" 웹의 힘은 보편성에 있다.
장애에 구애 없이
모든사람이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
웹의 필수 요소이다. "
장애란?
- 어떤 사물의 진행을 가로막아 거치적거리게 하거나 충분한 기능을 하지 못하게 함. 또는 그런 일
- 두 번째 신체 기관이 본래의 제 기능을 하지 못하거나 정신 능력에 결함이 있는 상태.
즉, 신체적 또는 정신적 결함이 있는 것 뿐만 아니라 정보를 얻지 못하도록 방해하는 것도 장애가 된다는 말입니다.이런 장애 환경에는 여러 장애들과 노안, 운전 중일 때 소음이 심할 때 스피커가 없어서 소리를 듣지 못할 때 소프트웨어가 지원되지 않거나 네트워크가 접속되지 않는 경우들도 있습니다.
장애 환경
1. 전맹 시각 장애
시력이 전혀, 거의 없어 앞을 볼 수 없습니다.
이분들은 더욱 발달된 다른 감각(청각/촉각)으로 웹을 이용합니다.
청각적으로는 스크린리더가 웹에 존재하는 이미지, 글씨를 음성으로 읽어주어 이를 통해 정보를 파악할 수 있으며,
촉각적으로는 점자 정보 단말기를 통해 점자를 손으로 읽으면서 웹 페이지의 내용을 인식합니다.
* 스크린 리더 : 스크린을 읽어주는 프로그램, 프로그램 실행 후 웹에 접근하면 웹 페이지를 읽어줌.
2. 저시력 시각 장애
안경이나 렌즈, 치료, 수술로 해결할 수 없는 시력으로써 일상적인 생활이 어렵습니다.
이분들은 좀더 크고 선명하게 볼 수 있는 기능을 이용합니다.
시력 저하인 분들은 화면이 뿌옇게 보여서 내용을 잘 인식할 수가 없습니다.
시야 장애를 가진 분들은 페이지의 일부만 볼 수 있습니다. 이런 분들은 화면 확대 기능을 이용합니다.
색약, 색맹은 색상을 분별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분들입니다. 색이 다른 색으로 보이거나 전색맹인 경우는 아예 웹 페이지가 흑백으로 보입니다. 이런 분들은 더 선명하게 웹 페이지를 볼 수 있도록 고대비를 사용합니다.
3. 중증 운동 장애
손 또는 팔을 사용하지 못하고 목만 움직일 수 있는 장애 환경입니다.
보조기기를 이용하여 키보드를 조작할 수 있습니다.
보조기기로는 헤드 포인터, 빅키 키보드, 키가드가 있습니다.
손을 대신하여 타이핑 가능한 포인터 스틱을 머리에 고정하여 키보드를 조작하고 자판이 큼직한 빅키 키보드와 타이핑 스틱이 엇나가지 않도록 보조해주는 키가드로 보다 정확하게 타이핑할 수 있습니다.
4. 손 운동 장애
한 손만 사용 가능하며, 마우스나 키보드의 정교한 조작이 어려운 장애 환경입니다.
이분들은 보조기기를 이용하여 마우스와 키보드를 쉽게 조작할 수 있습니다.
보조기기로는 한 손 사용자용 키보드와 트랙볼 마우스가 있습니다.
한 손 사용자용 키보드는 한 손으로만 사용하기 때문에 일반 키보드와 비교했을 때 위치와 모양이 다르고 트랙볼 마우스는 큰 볼을 굴려서 마우스 포인터를 쉽게 이동할 수 있으며, 별도로 제공되는 버튼을 한 번만 클릭해 정교한 조작을 쉽게 할 수 있습니다.
5. 청각 장애
들을 수 없기 때문에 알림음, 영상 같은 정보를 제공받을 수 없습니다.
이분들은 안내 문구나 자막 같은 화면의 글씨를 읽습니다.
6. 맥 사용자
여태까지 살펴 본 장애유형 이외에 맥 환경인데 웹을 윈도우에서만 사용이 가능한 경우도 웹에 접근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장애가 됩니다.
7. 느린 인터넷
인터넷이 느린 경우 로딩이 잘 안되어 UI가 깨지는 등의 경우는 오히려 비장애인들이 웹 페이지를 인식하는데 불편함을 줄 수 있습니다.
'Spec UP - Frontend > 부스트코스_UI 개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웹 접근성_적절한 대체 텍스트 제공(alt) (0) | 2020.03.31 |
---|---|
웹 접근성 지침 소개 (0) | 2020.03.31 |
웹 접근성이란? (0) | 2020.03.31 |
Viewport의 이해 (0) | 2020.03.31 |
미디어쿼리 실습예제 (Media Queries) (0) | 2020.03.31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