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 Spec UP - Backend/나도코딩의 자바기본편58 Chap_04. 주차정산 Quiz 주차요금은 시간당 4000원이다. - 일일 최대 요금은 30,000원이다. - 경차 또는 장애인 차량은 최종 주차요금에서 50%할인한다. 일일최대요금 30,000원이 초과된 경우 주차요금(fee)를 30000 으로 적용 // if(fee>30000){fee=30000;} 경차/장애인차량인 경우 50%할인 // if(isSmallCar || withDisabledPerson){fee=fee/2;} 2023. 4. 12. Chap_04. 조건문 - break 반복문을 정해진 만큼 수행하다가, 어떤 조건이 만족되었을때 반복문을 중단하고 탈출할때 이용 (Break는 Switch Case, 반복문 등 다양한 명령문 내에서 이용 가능) 위 예시에서는 매일 치킨 20까지만 판매할 수 있도록 제한을 걸기 위하여 max(20) 값 도달 시 break로 반복문을 탈출하도록 하였다. (break 제거 시 20마리 이후에도 전체 대기 손님(50명)에게 판매됨) 2023. 4. 12. Chap_04. 이중 반복문 이중반복문 for (int i = 0; i < 5; i++) { //5줄 반복 for (int j = 0; j < 5; j++) { //5번 반복 System.out.print("*"); // * 출력 } System.out.println(""); // 줄바꿈 } for (int i = 0; i < 5; i++) { //5줄 반복 for (int j = 0; j 2023. 4. 10. Chap_04. 반복문 (For / While / DoWhile) 반복문 For for (선언; 조건; 증감) { 조건을 만족할 경우 실행할 명령 } fori 엔터 시 자동완성 반복문 While 반복 횟수가 명확한 경우 For문을 주로 이용, 특정 상황에만 반복하는 경우 While 문을 주로 이용. while (조건) { 조건이 참일 경우 실행할 명령 } 반복문 Do While do { 실행할 명령 } while (조건); 조건이 거짓이 나올때까지 반복한다. 2023. 4. 10. Chap_04 : If-Else / SwitchCase 조건문 IF If (조건) { 조건이 참을 충족하면 실행할 명령 }; IF문 내에서 하나의 문장만 실행할때는 대괄호 { } 생략이 가능하다. boolean형 변수에 대한 조건의 경우 If ( 변수명 ) { } : 변수 값이 true인 경우 명령을 실행한다. 반대로 변수 값이 false 인 경우에 명령을 실행하고 싶다면, if (변수명 == false) 혹은 if (!변수명) 으로 표기하면 false 인 경우 명령을 실행한다. IF - Else 문 If문의 조건 값이 참일 경우 { } 안의 문장을 실행한다. 다만 그 외의 경우에 다른 명령어를 실행하고 싶다면 Else 문을 활용한다. If ( hour < 14) { System.out.println("아이스 아메리카노"); } else { System.ou.. 2023. 4. 7. Chap_03. 문자열 (문자열)변수명.length : 문자열 길이 (문자열)변수명.toUpperCase() : 문자열을 대문자로 변환 (문자열)변수명.toLowerCase() : 문자열을 소문자로 변환 (문자열)변수명.contains("단어") : 특정 단어가 포함되면 true, 포함되지않으면 false (문자열)변수명.indexOf("단어") : 특정 단어가 포함된 위치(인덱스) 정보 (포함되지않으면 -1) / 인덱스는 0부터시작 (문자열)변수명.lastIndexOf("단어") : 특정 단어가 마지막으로 등장하는 위치 정보 (문자열)변수명.startsWith("옛날옛적에") : 해당 문자열로 시작되는지 확인 (true/false) (문자열)변수명.endsWith("살았습니다") : 해당 문자열로 끝나는지 확인 (true/f.. 2023. 4. 3. Chap_02. 연산자 산술연산자 +, -, *, /, % 우선순위를 적용할땐 ( ) 괄호를 이용한다. 증감연산 변수명 앞 혹은 뒤에 ++, -- 를 붙이면 +-1씩 증감한다. ++변수 : 변수의 값에 +1을 즉시 더하여 적용한다. (선적용) 변수++ : 다음 라인부터 변수 값에 +1을 더한다. (후적용) --변수 : 변수의 값에 -1을 즉시 뺀 값으로적용한다. (선적용) 변수-- : 다음 라인부터 변수 값에 -1을 빼서 적용한다. (후적용) 대입 연산자 변수에 대입하여 연산한다. num = num+2; num += 2; 두 방식 모두 num에 2를 더하여 대입시킨다. 비교연산자 참 or 거짓을 출력한다. > 크다, >= 크거나 같다. < 작다, 2023. 4. 3. Chap_01. 자료형과 변수 DataTypes 자료형 문자형, 숫자형, 불린(참/거짓) Variables 변수 int, double, float, long char, String boolean Comments 주석 //한줄 주석 (단축키 ctrl+/ ) /* 여러줄 주석 */ (단축키 ctrl + shift + / ) Constants 상수 변수 앞에 final을 붙여서 상수로 선언할 수 있다. 상수 = 변하지않는 값 TypeCasting 형변환 숫자 -> 문자열 String.valueOf() Integer.toString() Double.toString() 문자열->숫자 Integer.parseInt() Double.parseDouble() 2023. 4. 3. 이전 1 ··· 3 4 5 6 다음 반응형